티스토리 뷰

목차



    아데노바이러스는 호흡기 감염을 일으키는 바이러스 중 하나로 주로 인후염과 편도염을 일으키며 고열과 두통, 근육통 등 전신증상을 동반하게 됩니다. 특히 성인에 비해 면역력이 약한 어린이에게 주로 발생합니다.

     

     

    최근 유행성 각결막염 환자 급증 원인으로 지목되기도 한 아데노바이러스의 잠복기, 초기증상, 치료 및 예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데노바이러스 자세히 알아보기

     

    아데노바이러스란?

     

    아데노바이러스는 사람과 동물 모두에게 감염될 수 있는 바이러스로, 우리나라에서도 매년 수십 명의 환자가 발생하며 감기나 기관지염 같은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게 됩니다. 이 바이러스는 호흡기 감염, 분변-구강 경로 등 다양한 경로로 전파되며 저농도의 염소에 대해 저항성이 있어 수영장의 물을 통해서도 전파될 수 있습니다. 사람 아데노바이러스는 주로 소아에게 감염되며 드물게 성인에게도 감염됩니다. 대부분 일주일이내 자연 치유되지만 일부 폐렴 같은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으며 주의해야 합니다. 

     

    잠복기 및 초기증상

     

    잠복기

    • 보통은 바이러스가 호흡기를 통해 전파되면 8~10일의 잠복기를 거치게 됩니다. 
    • 단, 사람마다 다를 수 있고 이르면 2~5일의 잠복기 후 감기와 같은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 이때부터 1주일 정도 증상이 지속되며, 이 기간 동안 감염된 사람은 타인에게 바이러스를 전파할 수 있습니다.

    초기증상

    아데노바이러스의 초기증상은 감기와 비슷하게 나타납니다. 아이들이 갑자기 눈곱이 끼거나 충혈되고 아프다면 의심해봐야 합니다.

    • 목감기처럼 열이 나고 기침, 가래, 코막힘, 콧물, 인후통, 발열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 감기와 다른 점은 눈곱이 끼고 결막 충혈되며 눈물이 흐르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면 바로 병원에서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다른 바이러스와 같이 노인, 어린이, 면역력이 약한 사람들에게는 위험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감염경로 및 치료방법

     

    감염경로

    • 감기환자와의 접촉, 공기 중 전파로도 전염될 수 있습니다.
    • 바이러스에 오염된 음식물과 물을 섭취한 경우
    • 환자의 기저귀를 가는 것과 같이 환자의 분변과의 직간접적인 접촉을 통해 전파 가능

    치료방법

    아데노바이러스는 특별한 치료제가 없습니다. 대부분 10~14일 후 회복이 되는데, 다만 충분한 휴식과 수분섭취 그리고 영양 보충이 빠르게 회복하는 데에 도움이 됩니다. 만약 심한 구토나 설사, 복통 증세가 있다면 탈수 방지를 위해 수액주사를 맞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탈수 예방과 수분 보충이 가장 중요합니다.

     

    예방하기

     

    바이러스의 감염 예방과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개인위생 수칙을 잘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1. 흐르는 물에 비누로 30초 이상 손을 자주 씻습니다. (※ 특히, 음식 섭취·조리·수유 전, 아기 기저귀 교체·배변 후 등) 
    2. 음식은 충분히 익혀 먹고, 물은 끓여 마시는 것이 좋습니다.
    3. 채소와 과일은 흐르는 물에 깨끗이 씻고 껍질을 벗겨 먹습니다.
    4. 위생관리를 철저히 하고, 위생적으로 조리합니다. (※ 칼, 도마 조리 후 소독, 생선·고기·채소 등 도마 분리사용)
    5. 가정용 락스 희석액(1,000~5,000ppm)으로 염소 소독

    ▼ 가정 내 소독방법

    가정 내 소독방법

     

     

    오늘은 아데노바이러스의 감염 원인과 증상, 치료, 예방법 등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손만 잘 씻어도 설사 질환 30%, 감기·인플루엔자등 호흡기 질환 20% 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개인위생을 철저히 하고, 무서운 바이러스에 노출되지 않도록 예방법을 잘 익혀 모두가 항상 건강하시기를 바랍니다.